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숫자 쓰기
수학이야기 2010. 10. 6. 11:53이런 저런 책을 읽다가 본 것을 옮겨 놓는다.
<<박영훈--멜론수학 가운데에서>>
이집트 사람들이나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무척이나 앞선 문명을 일구고 있었던 까닭을 알 수 있겠다. 아직도 10을 넘는 수를 쓰지 않고 사는 이들도 많다고 하는데 까마득한 옛날 사람들이 무려 백만이라는 수를 생각하고 썼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오른쪽 그림은 상형문자로 나타낸 이집트 숫자이다.
1을 나타내는 숫자는 수직 막대기인데, 이는 그다지 놀랄 일은 아니다.
10을 나타내는 숫자는 말굽 형상과 비슷한 멍에인데, 열 개씩 한 묶음을 만들어 묶을 때 쓰는 끈 모양을 나타낸다고 보여진다.
102과 103을 나타내는 숫자는 나선과 연꽃인데, 직접적으로 102이나 103을 나타낸다기 보단 나선과 연꽃을 나타내는 이집트 말이 각각 백과 천을 말하는 소리와 같지 않았을까 짐작한다.
104을 나타내는 숫자는 손가락 하나가 비스듬히 쳐든 모양인데, 이집트 인들이 고대부터 써왔던 손가락 셈법때문이라고 보여진다.
105을 나타내는 숫자는 올챙이 이것은 나일강의 개구리의 떼의 울음소리를 나타낸다.
마지막 106을 나타내는 숫자는 깜짝 놀라는 사람의 모습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그 엄청난 수에 놀란 사람을 나타낸 것이란다.
다른 곳에서 107을 태양 그림으로 나타냈다는 글도 보았다.
이집트는 십진법을 쓰고 위의 기호들을 반복하여 쓰고 있다. 예를 들어 1345는 아래 그림과 같이 썼다.
아쉬운 것은 요즘 우리가 쓰는 아라비아수처럼 자릿수 개념을 쓰지 않았기에 자꾸만 새로운 글자를 만들고 같은 걸 여러 개 써야 했다는 것이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60진법을 썼지만 자릿수 개념을 썼기에 1과 10을 나타내는 쐬기 단 두 개로 모든 수를 나타내는 놀라움을 보여주었다.
단 두 자리로 무려 602-1=3559까지 수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이 또한 놀랍지 아니한가? 세 자리 수 가운데 가장 큰 수는 603-1=215999이다.
https://www.futurelearn.com/info/courses/maths-puzzles/0/steps/13994
Get updates, career advice, and job market news on the FutureLearn Blog
Find out how you can boost your career, make your CV stand out, and build the skills you need for your next career step.
www.futurelearn.com
피타고라스 짝과 프림프톤322
프림프톤(Plimpton 322(BC 1900~1600))은 오늘날 이라크 지방인 바빌로니아에서 만든 점토판이다. 바빌로니아는 60진법을 썼는데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십진법으로 고쳐보면 판에 쓰인 수들이 피타
suhak.tistory.com
수학이야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