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카이스트 면접 수학 기출문제_1
수학이야기/면접논술 2023. 7. 24. 09:59정말 오랜만에 면접 문제를 올린다.
xyz좌표공간에서 x2+y2=4,z=6을 만족시키는 점 (x,y,z)들의 집합을 A라 하자. 집합 A의 임의의 점을 P(x,y,z)라고 하자.
- 점 Q(2,4,2)와 집합 A의 임의의 점을 P(x,y,z)를 지나는 직선은 xy평면과 한 교점에서 만난다. 이렇게 구해지는 교점들의 집합을 방정식으로 나타내시오.[1점]
- 평면 z=2에 변의 개수가 n인 정다각형이 있고, 그 내부에 점 R(2,2,2)가 있다. 이 정다각형의 한 꼭짓점의 좌표는 (2,4,2)이고, 각 꼭짓점과 점 R(2,2,2) 사이의 거리가 2라고 하자. 이 정다각형의 변 또는 내부에 있는 임의의 점과 집합 A의 임의의 점 P(x,y,z)를 지나는 직선은 xy평면과 한 교점에서 만난다. 그 교점들을 모아놓은 도형의 넓이를 Sn이라고 할 때, Sn을 구하시오.[3점]
- limn→∞Sn을 구하시오.[1점]
풀이 공간도형 문제는 상상하기 어렵다면 정사영이나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생각해야 한다. 이 문제도 정사영은 아니지만 비슷한 개념을 쓰면 좋다.
(1) 집합 A는 원기둥 x2+y2=4와 평면 z=6의 교선인 중심 M(0,0,6)이고 반지름이 2인 원이다. 문제 상황을 그림으로 그리면 아래와 같다.
점을 대칭이동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므로 도형의 모양은 달라지지 않고 크기만 달라진다. 따라서 닮음으로 접근해도 좋다. 중심 M(0,0,6)을 먼저 옮기고 반지름을 구하면 된다.
직선 MQ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생각하자.
점 M의 정사영은 O(0,0,0)이고 점 Q의 정사영은 (2,4,0)이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점은 2x=y,z=0 위에 있다. 직선 MQ의 x축과 y축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생각하고 닮음을 이용하여 M′(3,6,0)임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또한 ¯MF:¯M′F′=2:1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심이 (3,6,0)이고 반지름이 1인 xy평면 위의 원의 방정식을 적으면 된다.
(x−3)2+(y−6)2=1,z=0
직접 대수적인 계산으로 구할 수 있다. 집합 A의 임의의 점을 P(x1,y1,6)이라 놓자.
직선 PQ의 방정식을 구하면 점 Q(2,4,2)를 지나고 방향벡터는 (x1−2,y1−4,4)이므로
x−2x1−2=y−4y1−4=z−24
(1)이 xy평면과 만나는 점을 P′(x,y,0)으로 놓으면
x−2x1−2=y−4y1−4=−12
정리하면
x1=−2x+6,y1=−2y+12
x21+y21=4에 대입하면
(x−3)2+(y−6)2=1
안타깝게도 이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벡터가 빠졌기 때문에 이런 풀이는 적당하지 않다. 그래서 카이스트에서 제시한 답안이 복잡하게 보인다.
(2) 점 P와 평면 z=2 위에 있는 점을 지나는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점을 구하는 일은 (1)에서 한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정n다각형 위에 있는 점을 An이라고 하자.
원의 중심 M과 정다각형의 중심 R(2,2,2)을 지나는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점은 C′(3,3,0)이다.
정n각형의 변 위의 점과 중심 M을 지나는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점의 자취는 정n각형일 것이다. 이것을 Bn이라고 하자. 이때 도형의 중심과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CM′=3이다.
xy평면 위에 그려지는 도형은 정n각형의 변 위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이 1인 원이 지나가는 영역과 정n각형 내부가 될 것이다. 정육각형일 때 그림은 아래와 같다.
Sn=1+2+3
Sn=π+n⋅6sinπn⋅1+n⋅12⋅32sin2πn=π+6nsinπn+9n2sin2πn
(3) limn→∞Sn=π+limn→∞6nsinπn+limn→∞9n2sin2πn=π+6π+9π=16π
수학이야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