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북의 수학 말::::수학과 사는 이야기

남과 북의 수학 말

수학이야기 2009. 2. 19. 15:27
반응형

며칠 앞 서 '소수와 소수'를 쓰면서 갑자기 북한에선 수학에서 어떤 말을 쓰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이곳저곳에 비슷한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잘 정리해 두었네요.

국정원 누리집에서 문화어를 잘 알려주고 있습니다.

ㅇ 북한은 언어를 "혁명과 건설에로 대중을 조직ㆍ동원하는 무기"라고 정의하고 있다.
ㅇ 북한은 1966년 5월 언어표준화정책을 전개하여 기존의 서울말 중심의 표준말 대신 평양말을 중심으로한 소위「문화어」를 제정하였다.
ㅇ 이후 북한에서는 사회과학원 산하「국어사정위원회」와「언어학연구소」에 의학ㆍ약학용어 분과위원회, 일반용어 분과위원회 등 18개 분과위원회가 설치되어 문화어를 만들기 위한 소위 「말다듬기 사업」이 전개되었다.
ㅇ 이 사업은
     - 첫째, 한자어는 한글 고유어로 대체하고 고유어가 없을 때는 풀이말로 쓰며,
     - 둘째, 외래어 역시 고유어로 대체하며,
     - 셋째, 정치용어는 사상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한자어라 할지라도 수정을 금지하며,
     - 넷째, 과학기술용어 및 대중화된 한자어와 외래어는 그대로 사용한다는 방침으로 전개되었다.

ㅇ 이렇게 하여 제정된 약 5만여개에 이르는 문화어는 서울 표준말보다 된소리와 거친 소리가 많으며, 외래어 사용에 있어서도 동구권 용어들을 많이 차용하고 있다.

수학에서 쓰는 말도 다른 것들이 있답니다. 국정원 말대로 문화어엔 우리말이 많고 영어보다는 러시아말이 많네요. 우리말이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들도 많지만 어떤 것들은 너무 많이 달라 알아보기 힘듭니다. 같기식이나 같기표 거꿀비례는 억지스러워 보입니다만 씨수나 어깨수 '뾰족각', '무딘각' 따위는 맘에 듭니다. 그런데 설마 북한 수학책을 구해보는 것도 국가보안법에 걸리는 것은 아니겠지요. 통일되면 어떤 걸로 써야 할지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은 어때요.

 

o 가로자름면 : 횡단면(橫斷面). 물체를 그 높이에 수직이 되게 가로 자른 면.
o 가로자리표 : 횡좌표(橫座標). 가로좌표. χ좌표.
o 같기식 : 등식(等式).
o 같기표 : 등호(等號). 같음표(=).
o 같은중심원 : 동심원(同心圓).
o 같은차 : 등차(等差). 차가 같음.
o 거꿀비례 : 반비례(反比例).〔예〕 바른비례와 거꿀비례.
o 거꿀셈법 : 역산법 (逆算法).
o 거꿀수 : 역수(逆數).
o 겹부호 : 복부호(複符號). 두 개의 표를 겹쳐서 만든 표(±).
o 겹분수 : 번분수(繁分數). 분자 또는 분모가 다시 분수로 되어 있는 분수.
o 곁수 : 계수(係數). 수식(數式)에서 기호 문자에 딸린 숫자.
o 곱절수 : 배수(倍數).
o 곱해질수 : 피승수(被乘數). 곱하임수.
o 공면갓 : 구관(球冠). 구(球)를 한 평면에 의해서 잘랐을 때 잘린 구의 구면(球面) 부분.
o 공수(工數) : 노력의 가치를 숫자로 나타낸 것. 노력의 단위.〔예〕 30공수의 노력.
o 구름자 : 운형자. 곡선자.
o 기둥도표 : 막대 그래프(graph).
o 꽃잎묶음표({ }) : 중괄호. 활짱묶음.
o 나누기기호 : 나눗셈표(÷).
o 나누일수 : 피제수(被除數). 나뉨수.
o 남은각 : 여각(餘角).
o 넉셈 : 사칙산(四則算).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네 가지 계산.
o 높이중심 : 수심(垂心).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서 대변(對邊)에 그은 세 직각선이 만나는 점.
o 다문곡선 : 폐곡선(閉曲線).
o 단위길이 : 길이의 단위.〔예〕 센티미터(㎝), 미터(m), 킬로미터(㎞) 등.
o 닫긴곡선 : 폐곡선(閉曲線).
o 닿이선 : 접선(接線). 곡선 위의 한없이 가까운 두 이웃점을 지나는 직선.
o 닿이점 : 접점(接點). 곡선과 접선이 닿은 점.
o 대괄호({ }) : 중괄호. 활짱묶음.
o 더는수 : 감수(減數).
o 더덜기법 : 가감법(加減法).
o 더하기기호 : 덧셈표(+).
o 더하는수 : 가수(加數). 덧수
o 더해질수 : 피가수(被加數). 더하임수.
o 덜기기호 : 뺄셈표(-).
o 덜릴수 : 피감수(被減數). 빼임수.
o 데림분수 : 대분수(帶分數).
o 돌기 : 평면으로 죽 돌아가며 한 벌 깔리거나 펼친 것을 나타내는 이름수의 단위의 하나.〔예〕 김칫독에 무를 한 돌기 깔다.
o 드림선 : 수선(垂線). 수평면에 직각인 방향에 놓인 직선.
o 맞문각 : 대정각(對頂角). 맞꼭지각.
o 맞은각 : 대각(對角). 맞각.
o 모르는수 : 미지수(未知數).
o 무겁 : 한 번에 빨 빨랫감을 나타내는 단위.
o 무딘각 : 둔각(鈍角). 90도보다 큰 각.〔예〕 직각과 무딘각.
o 묶음법칙 : 결합률(結合律). 결합법칙(結合法則).
o 미누스 : 마이너스(minus).
o 미분곁수 : 미분계수(微分係數). 점에서의 함수의 변화율.
o 밑너비 : 밑넓이. 입체의 밑면의 넓이.
o 바깥각 : 외각(外角). 다각형에서 한 변과 그 이웃 변의 연장선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각.
o 바깥마디 : 외항(外項). 비례식에 있어서 바깥쪽에 있는 두 개의 항. 즉 a:b=c:d에서의 a와 d.
o 바꿈법칙 : 교환 법칙(交換法則). a+b=b+a, ab=ba 등.
o 바른모뿔 : 정각추(正角錐).
o 바른비례 : 정비례(正比例).〔예〕 바른비례와 거꿀비례.
o 바른사각형 : 정사각형(正四角形).
o 보탬각 : 보각(補角).
o 불룩모임 : 철집합(凸集合). 볼록 집합.
o 비탈각 : 경사각(傾斜角).
o 빗선 : 빗금. 사선(斜線).
o 뾰족각 : 예각(銳角). 90도보다 작은 각.
o 뿌리기호 : 근호(根號). 루트(√).
o 사귐각 : 교각(交角). 면 또는 선이 서로 교차하여 이루는 각.
o 사이넣기법 : 보간법(補間法). 변량의 아는 값들을 이용해서 그 사이에 놓일 값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
o 선그림면 : 입화면(立畵面). 물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모양을 그리는 화면.
o 세로자름면 : 종단면(縱斷面). 물체를 길이로 자른 면.
o 세로자리표 : у좌표. 세로 좌표.
o 세칸스 : 시컨트(sec). 삼각함수의 하나로 코사인(cos)의 역수(逆數).
o 셈따지기 : 검산(檢算).
o 숙은각 : 빗각.
o 시누스 : 사인(sin). 삼각함수의 하나.
o 씨수 : 소수(素數). 약수(約數)를 갖지 아니하는 수.
o 씨인수분해 : 소인수분해(素因數分解). 합성수를 소수의 곱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일.
o 아낙각 : 내각(內角).
o 아낙마디 : 내항(內項).
o 아는수 : 기지수(旣知數).〔예〕 아는수와 모르는수(未知數).
o 안같기기호 : 부등호(不等號).
o 알형선 : 달걀꼴 곡선(曲線). 평면상의 폐곡선(閉曲線)의 하나.
o 어깨수 : 지수(指數). 어떤 수나 문자의 오른쪽 위에 덧붙여 그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o 여러값함수 : 다가함수(多價函數). 독립변수의 값 하나에 두 개 이상의 값이 대응하는 함수.
o 여러마디식 : 다항식(多項式).
o 옹근수 : 정수(整數). 완전수(完全數).
o 적모임 : 교집합(交集合).
o 제곱뿌리 : 제곱근.
o 제곱어깨수 : 지수(指數). 멱지수(冪指數). 어떤 수나 문자의 오른쪽 어깨 위에 붙여 그 수나 문자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o 제낌표 : 체크(check). 「∨」모양의 표시.
o 중괄호([ ]) : 대괄호. 꺾쇠묶음.
o 지함(紙函) : 박스(box). 두꺼운 종이로 만든 상자로 이름수의 단위로 쓰임.
〔예〕 남조선 수재민들에게 보내줄 14종에 759지함의 의약품.
o 찌레 : 줄표(-). 대시(dash).
o 차례곱 : 계승(階乘).
o 참분수 : 진분수(眞分數). 분자가 분모보다 작은 분수.
o 채눈종이 : 모눈종이.
o 처진선 : 현수선(懸垂線). 실의 양쪽 끝을 고정하고 중간을 자유로 늘어뜨렸을 때 실이 이루는 곡선.
o 체 : 모. 두부나 묵 같은 것을 세는 단위명사의 하나. 〔예〕 두부 다섯체와 묵 열체.
o 쳐든각 : 올려본각. 앙각(仰角).
o 코세칸스 : 코시컨트(cosec). 삼각함수의 하나.
o 코시누스 : 코사인(cos). 삼각함수의 하나.
o 코탕겐스 : 코탄젠트(cot). 삼각함수의 하나.
o 탕겐스 : 탄젠트(tan). 삼각함수의 하나.
o 플루스 : 플러스(plus).
o 한또래마디 : 동류항(同類項). 다항식에서 계수(係數)는 다르나 문자와 차수(次數)가 같은 두 개 이상의 항.
o 횡십자(橫十字) : 가새표(×). 승표(乘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