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config.js
한국어
Français
Deutsch
Italiano
Español
English
简体中文
日本語
ko
수학과 사는 이야기::::수학과 사는 이야기
수학과 사는 이야기
수학이야기
수학이야기
중국이 만든 인공지능 딥시크 체험
뉴스마다 중국에서 만든 새로운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를 소개하고 있다. 궁금해서 체험해 보았다. 인터페이스는 챗 GPT와 흡사하다. 먼저 한국어 할 수 있냐고 물었더니 당연하단다. 간단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달라고 하니 뚝딱 해낸다. 버전 탓인지 오늘 날짜를 2023년 10월 12일로 알고 있다. 궁금해서 확인해 보니 챗지피티는 오늘 날짜를 알고 있다. 아, DeepSeek 말하는 거구나! 중국에서 개발한 AI지. 내가 날짜를 제대로 알고 있으니까 난 DeepSeek이랑은 다르다고 보면 돼. 😆 그런데 왜 DeepSeek이 날짜를 모른다고 한 거야? 혹시 비교해 보고 있는 거야?챗지피티에게 딥시크가 날짜를 모르는 까닭을 묻자 놀라운 답을 내놓는다. 인공지능은 이제 장난이 아닌 수준에 다다랐다. ..
수학자
12월 27일이 생일인 수학자
폰 노이만 John von Neumann(1903년 12월 27일 ~ 1957년 2월 8일)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수학자이자 과학자 중 한 명으로, 수학, 컴퓨터 과학, 물리학, 경제학, 게임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현대 수학과 컴퓨터 과학, 그리고 논리학에 대한 기초를 놓은 인물로, 여러 과학적 혁신에 기여했다.수학과 수리논리학에서의 업적수리논리학: 수리논리학과 집합론에서도 중요한 연구를 했다. 특히, 그는 집합론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후에 "von Neumann–Bernays–Gödel 집합론" (NBG 집합론) 이라는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는 집합론의 표준화된 접근법 중 하나로 여겨진다.준위상수론(Topos theory), 측도론, 행렬 이론에서도 중요한..
중학수학1
자유학기_시어핀스키 삼각형
정삼각형의 각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정삼각형들 중에서 가운데 것을 지워 나가는 일을 한없이 되풀이하면 시어핀스키 삼각형이 생겨난다.
사는 이야기
병상에서 읽은 '작별하지 않는다'
강릉 여행_바다부채길
춘천 명동 나들이
인기글
사는이야기
병상에서 읽은 '작별하지 않는다'
목공하다가 손가락을 크게 다쳐서 요즘 많이 힘들다. ㅠㅠ. 입원했을 때 읽은 책이 생각나 독후감을 썼더니 기사로 채택되었다. 즐거운 일이다. 노벨상 수상작이라서가 아니라, 사람답게 생각하고 살기 위해서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를 반드시 읽었으면 좋겠다.겨우 손가락 한마디만 다쳐봐도 느낄 수 있다. 생명이 얼마나 소중하고 귀한가를 말이다. 내 손톱 밑 가시가 아프듯, 당연히 다른 사람의 손도, 모든 생명도 똑같이 소중하고 귀한 것이라는 걸,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https://omn.kr/2cqpl 이제 알겠다, 유가족이 아직도 '작별하지 못하는' 이유찰나였다. 눈 앞에서 빠르게 회전하는 톱날이 손가락을 파고들었다. 겨우 매달려 흔들리는 손가락을 부여잡고 응급실로 다시 수술받을 수 있는 병원..
여행음식
강릉 여행_바다부채길
갑자기 강릉을 가기로 했다. 강릉은 자주 가서 어지간한 곳은 다 가보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당일치기로 좋은 곳을 찾다가 바다부채길이 좋다는 글을 보았다. 최근에 생겼다고 생각했는데 2017년부터 개방되었다고 한다. 겨울이고 날씨도 흐렸지만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풍경이 참 좋았다. 파도가 제법 높아서 서늘한 기운마저 느껴졌다. 이 좋은 비경을 분단때문에 70여년이나 보지 못하고 살았다. 이번 여름에 반드시 다시 둘러보아야겠다. 천혜의 비경을 간직한 정동진 해안단구 탐방로'정동심곡바다부채길'의 '정동'은 임금이 거처하는 한양(경복궁)에서 정방향으로 동쪽에 있다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심곡'은 깊은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정동진의 ‘부채끝’ 지형과 탐방로가 위치한 지형의 모양..
수학이야기
중국이 만든 인공지능 딥시크 체험
뉴스마다 중국에서 만든 새로운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를 소개하고 있다. 궁금해서 체험해 보았다. 인터페이스는 챗 GPT와 흡사하다. 먼저 한국어 할 수 있냐고 물었더니 당연하단다. 간단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달라고 하니 뚝딱 해낸다. 버전 탓인지 오늘 날짜를 2023년 10월 12일로 알고 있다. 궁금해서 확인해 보니 챗지피티는 오늘 날짜를 알고 있다. 아, DeepSeek 말하는 거구나! 중국에서 개발한 AI지. 내가 날짜를 제대로 알고 있으니까 난 DeepSeek이랑은 다르다고 보면 돼. 😆 그런데 왜 DeepSeek이 날짜를 모른다고 한 거야? 혹시 비교해 보고 있는 거야?챗지피티에게 딥시크가 날짜를 모르는 까닭을 묻자 놀라운 답을 내놓는다. 인공지능은 이제 장난이 아닌 수준에 다다랐다. ..
티스토리툴바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티스토리 홈
포럼
로그인
수학과 사는 이야기
구독하기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