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BC7289와 무리수 $\sqrt{2}$::::수학과 사는 이야기

YBC7289와 무리수 $\sqrt{2}$

수학이야기 2023. 1. 6. 22:01
반응형

차례

     

    고대 바빌로니아인은 점토판에 정보를 새겼다. YBC7289 점토판은 기원전 18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살던 어떤 학생이 남긴 것으로 여겨진다. 아래 사진과 같이 정사각형을 그리고 쐐기 문자를 새겨 넣었다. 

    YBC 7289 - Wikipedia

    바빌로니아는 60진법을 썼다.

    먼저 대각선 위에 있는 수를 10진법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1+\frac{24}{60}+\frac{51}{60^2}+\frac{10}{60^3}=1.41421\dot{2}9\dot{6}$$

    피타고라스 정리에 따라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제곱하면 2가 된다.

    이것을 제곱하면 2와 아주 가깝다.

    $$(1.41421296296)^2=1.99999830461$$

    다들 알고 있듯이 $x^2=2$인 수는 정수비로 나타낼 수 없다. $\sqrt{2}$는 무리수이다.

    오늘날에도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계산기 없이 이만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것으로 한 변의 길이가 30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계산한 결과를 42 25 35로 적은 것이다. 계산 과정은 아래와 같다.

    $$\begin{split}30\times \left(1+\frac{24}{60}+\frac{51}{60^2}+\frac{10}{60^3}\right)\\=30+\frac{24}{2}+\frac{51}{60\cdot 2}+\frac{10}{60^2\cdot 2}\\=30+12+\frac{25}{60}+\frac{1}{60\cdot 2}+\frac{5}{60^2}\\=30+12+\frac{25}{60}+\frac{30}{60^2}+\frac{5}{60^2}\\=42+\frac{25}{60}+\frac{35}{60^2}\\=42.4263\dot{8}\end{split}$$

    $30\sqrt{2}$와 아주 가깝다.

     

    YBC 7289 - Wikipedia

     

    YBC 7289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Ancient Babylonian clay tablet YBC 7289 is a Babylonian clay tablet notable for containing an accurate sexagesimal approximation to the square root of 2, the length of the diagonal of

    en.wikipedia.org

    바빌로니아에서 쓴 숫자는 아래와 같다. 숫자는 10개를 쓰고 있으니 십진법도 썼을 것이다.

    Babylonian_cuneiform_numerals

     

    Babylonian cuneiform numerals - Wikipedia

    Numeral system Babylonian cuneiform numerals Assyro-Chaldean Babylonian cuneiform numerals were written in cuneiform, using a wedge-tipped reed stylus to make a mark on a soft clay tablet which would be exposed in the sun to harden to create a permanent re

    en.wikipedia.org

    $\sqrt{2}=1.4142\cdots$임은 외우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sqrt{30}$의 근삿값을 소수점 아래 다섯 자리까지 찾으라고 한다면 조금은 당황스러울 것이다. 이제 손으로 제곱근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바빌로니아 방법(Babylonian method)

    $\sqrt{S}$의 근삿값 $x_n$을 찾고 다음으로 $x_{n+1}$을 아래와 같은 점화식으로 찾아 나가는 방식이다. wiki

    $$x_{n+1}=\frac{1}{2}\bigg(x_n +\frac{S}{x_n} \bigg)$$

    $\sqrt{30}$은 $x_0 =5$로 놓고 풀면 아래와 같이 아주 빠르게 근삿값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begin{split}x_1 &=\frac{1}{2}\bigg(5+\frac{30}{5}\bigg)=5.5\\x_2 &=\frac{1}{2}\bigg(5.5+\frac{30}{5.5}\bigg)=5.477272727\\x_3 &=\frac{1}{2}\bigg(5.477225575+\frac{30}{5.477225575}\bigg)=5.477225575\\x_4 &=\frac{1}{2}\bigg(5.477225575+\frac{30}{5.477225575}\bigg)=5.477225575\end{split}$$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이 증명할 수 있다.

    $\varepsilon >0$은 이미 구한 근삿값 $x_n$보다 아주 작은 수라고 가정하자. 

    $$\sqrt{S}=x_n +\varepsilon =x_{n+1}$$

    $$S=(x_n +\varepsilon )^2 ={x_n}^2 +2\varepsilon x_n +\varepsilon^2={x_n}^2 +\varepsilon(2x_n +\varepsilon)$$

    정리하면

    $$\varepsilon=\frac{S-{x_n}^2}{2x_n +\varepsilon}$$

    $\varepsilon >0$은 아주 작은 수이므로

    $$\varepsilon=\frac{S-{x_n}^2}{2x_n}$$

    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새로운 근삿값 $x_{n+1}$을 구하면

    $$x_{n+1}=x_n + \frac{S-{x_n}^2}{2x_n}=\frac{{x_n}^2 +S}{2x_n}=\frac{1}{2}\bigg(x_n +\frac{S}{x_n} \bigg)$$

    이 방법은 방정식 $x^2 -S=0$의 해를 찾을 때, $f(x)=x^2 -S$의 $x$절편을 찾는 뉴튼 방법과 같다.

    $(x_0 ,f(x_0))$에서 접선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y-f(x_0)=f^{\prime}(x_0)(x-x_0)$$

    한편, $f^{\prime}(x_0)=2x_0$이므로

    $$0-f(x_0)=2x_0(x_1 -x_0)$$

    $$x_1 =x_0-\frac{f(x_0)}{2x_0}=x_0-\frac{x_0 ^2 -S}{2x_0}=\frac{1}{2}\bigg(x_0 +\frac{S}{x_0}\bigg)$$

    일반화하면 같은 결과를 얻는다.

    바빌로니아 수학이 참 놀랍다. 하지만 엄밀한 증명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근삿값 계산에 머물렀기 때문에 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한다. 역시 수학의 꽃은 증명이다.

    연분수로 구하기

    아래와 같이 연분수 계산으로 제곱근의 근삿값을 구할 수도 있다.

    $$\sqrt 2 =1+\sqrt 2 -1=1+\frac{1}{1+ \sqrt 2}=1.5\;\;(\sqrt2 \approx 1)$$

    $$\sqrt 2 = 1+\cfrac{1}{2+\cfrac{1}{1+ \sqrt 2}}=1+\cfrac{1}{2+\cfrac{1}{1+1}}=1+\frac{2}{5}=1.4$$

    $$\sqrt 2 = 1+\cfrac{1}{2+\cfrac{1}{1+ \sqrt 2}}=1+\cfrac{1}{2+\cfrac{1}{2+\cfrac{1}{2+\cfrac{1}{2+\cdots}}}}$$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근삿값을 바라는 만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연분수(Continued fraction) 자세히 알아보기

    소수 표현으로 구하기

    $\sqrt2 = a_0.a_1 a_2$라고 하자.

    $$\sqrt 2 = a_0 + a_1 \times \frac{1}{10}+a_2 \times \frac{1}{10^2}$$

    $$ 2 = \bigg(a_0 + a_1 \times \frac{1}{10}+a_2 \times \frac{1}{10^2}\bigg)^2$$

    $$2 = {a_0}^2 + {a_1}^2 \times \frac{1}{10^2}+{a_2}^2 \times \frac{1}{10^4}+2a_0 a_1 \frac{1}{10}+2a_1 a_2 \frac{1}{10^3}+2a_3 a_0 \frac{1}{10^2}$$

    $a_i =0,1,2,\cdots,9$이므로 $a_0 =1$임을 쉽게 알 수 있다.

    $$2-1={a_1}^2 \times \frac{1}{10^2}+{a_2}^2 \times \frac{1}{10^4}+2a_0 a_1 \times \frac{1}{10}+2a_1 a_2 \times \frac{1}{10^3}+2a_3 a_0 \times \frac{1}{10^2}$$

    $$10^2(2-1)={a_1}^2 +{a_2}^2 \times \frac{1}{10^2}+2a_0 a_1 \times 10+2a_1 a_2 \times \frac{1}{10}+2a_3 a_0$$

    $$10^2(2-1)={a_1}^2 +2a_0 a_1 \times 10 +{a_2}^2 \times \frac{1}{10^2} +2a_1 a_2 \times \frac{1}{10}+2a_3 a_0$$

    $$10^2(2-1)-{a_1}(2a_0 \times 10+a_1)={a_2}^2 \times \frac{1}{10^2} +2a_1 a_2 \times \frac{1}{10}+2a_3 a_0$$

    ${a_1}(2a_0 \times 10+a_1)$가 $100$을 넘지 않는 최대 정수이려면 $a_1 =4$임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을 일반화하면 아래와 같은 제곱근 계산법을 얻을 수 있다.

    펠 방정식으로 구하기

     

    펠 방정식(Pell's equation)은 아래와 같은 디오판토스 방정식이다.

    $$x^2 -Ny^2 =1$$

    $N=2$일 때, 이 방정식의 해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쌍곡선이 된다. 이때, 방정식의 정수해를 찾는 것은 쌍곡선 위의 점 가운데 $x,y$좌표가 모두 정수인 것을 찾는 것과 같다. $(-1,0) ,\;\;(1,0)$은 당연한(trivial) 해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6개의 해는 아래와 같다.

    인도의 브라마굽타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알려진 두 개의 해 $(x_1,y_1),\;\;(x_2,y_2)$로 다른 해를 찾았다고 한다.

    ${x_1}^2 -N{y_1}^2 =1,\;\;{x_2}^2 -N{y_2}^2 =1$라고 하면

    $(x_1^2 - Ny_1^2)(x_2^2 - Ny_2^2) = (x_1x_2 + Ny_1y_2)^2 - N(x_1y_2 + x_2y_1)^2 = (x_1x_2 - Ny_1y_2)^2 - N(x_1y_2 - x_2y_1)^2=1$이므로 $(x_1x_2 + Ny_1y_2,x_1y_2 + x_2y_1)$와 $(x_1x_2 - Ny_1y_2,x_1y_2 - x_2y_1)$도 해가 된다.

    방정식 $x^2 -2y^2 =1$의 해인 $(3,2)$로 새로운 해 $(3\cdot 3+2\cdot 2\cdot 2, \;\;3\cdot 2+3\cdot 2)=(17,\;12)$을 얻을 수 있다. 얻어낸 두 해로 같은 계산을 되풀이하여 $(99,70)$을 얻을 수 있다. 되풀이하면 무한히 많은 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방정식을 정리하면

    $$N=\frac{x^2 -1}{y^2}=\bigg(\frac{x}{y}\bigg)^2 -\frac{1}{y^2}$$

    이다. $y\rightarrow \infty$라고 하면 $\displaystyle{\frac{x}{y} \rightarrow \sqrt{N}}$이다.(쌍곡선의 점근선 기울기를 생각하면 된다.) 그러므로 펠 방정식의 정수해를 구함으로써 제곱근의 근삿값을 구할 수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Pell's_equation

     

    Pell's equatio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Type of Diophantine equation Pell's equation for n = 2 and six of its integer solutions Pell's equation, also called the Pell–Fermat equation, is any Diophantine equation of the fo

    en.wikipedia.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