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가'가 아니라 '사람이'일까?
사는이야기
2015. 6. 16. 22:31
우리말 공부에 도움이 되는 기사가 있어 옮겨둔다. 왜 '사람가'가 아니라 '사람이'일까? 왜 '사람'은 '사람이 있다'이고 '사자'는 '사자가 있다'일까? 단순히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한국어 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에 받침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주격조사 '이/가', 목적격조사 '을/를', 대조(또는 화제)의 보조사 '은/는', 방향을 나타내는 격조사 '으로/로', 비교의 격조사 '와/과', 선택의 보조사, '이나/나' 등은 받침 있는 체언 뒤에서는 전자, 받침 없는 체언 뒤에서는 후자의 형태를 취한다(그런가 하면 '이다', '에서', '에게' 처럼 앞에 오는 체언과 상관없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도 있다). 왜 선행 체언에 받침이 있을 때와 없을 때 조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