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는 초월수이다.::::수학과 사는 이야기

e는 초월수이다.

수학이야기/Calculus 2023. 1. 25. 12:00
반응형

수학에서 방정식을 푸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방정식을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는 대수학(Alebra)으로 분류한다. 기하학 다음으로 오래된 분야라고 생각한다. 조금 어려운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고대 수학자들도 유리수와 달리 정수의 비로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유리수 계수를 가지는 방정식을 풀다가 무리수인 해를 얻었다. 근대 수학자들은 과연 모든 수를 유리수와 가감승제와 거듭제곱해서 $0$을 만들 수 있을까 궁금했다. 달리 말하면 모든 수가 유리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가 되는가를 생각하기 시작했다. 당연히 일부 무리수는 유리수 계수 방정식의 해가 된다. 예를 들면 ${\sqrt 2}^2 -2=0$이므로 $\sqrt2$는 $x^2 -2=0$의 해가 된다. 

대수적 수(algebraic number)

$0$이 아닌 유리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방정식의 근이 되는 수를 대수적 수라고 한다.

$$\begin {split} x&=1+\sqrt 5\\x-1&=\sqrt 5\\x^2-2x+1&=5\\x^2-2x-4&=0\end{split}\tag{1}$$

$$\begin{split}x&=1+i\\x-1&=i\\x^2-2x+1&=-1\\x^2-2x+2&=0\end{split}\tag{2}$$

(1), (2)에 따라 두 수 $1+\sqrt5 ,\;\; 1+i$는 대수적 수이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최초로 대수적 수와 초월수를 구분하고, 초월수가 존재할 것으로 추측했다. 1844년에 조제프 리우빌은 최초로 초월수인 리우빌 상수를 제시한다.
$$\sum_{n=1}^{\infty}\frac{1}{10^{n!}}$$
리우빌 상수는 초월수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특별히 만든 수이다. 수학에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수 가운데 처음으로 초월수임이 증명된 수는 오일러 상수 $e$이다. 샤를 에르미트가 1873년에 증명하였다.

1882년에는 페르디난트 폰 린데만이 원주율 $\pi$가 초월수임을 증명함으로써 고대 그리스 수학의 난제였던 원적문제가 불가능함을 보였다. 대수적 수의 집합은 셀 수 있는 무한집합이다. 1874년에 게오르크 칸토어는 실수와 복소수의 집합이 비가산 집합임을 보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복소수는 초월수이다.

다비트 힐베르트는 1893년에 $\pi$와 $e$의 초월성에 대한 간단한 새로운 증명을 발견하였다. 1900년에 힐베르트는 인류가 풀어야 할 23문제를 제시하였다.  "만약 $a $가 $0$ 또는 $1$이 아닌 대수적 수이며 $ b$ 가 무리 대수적 수일 경우 $ ab$가 초월수인가?"는 7번째 문제이다.

초월수(transcendental number)

복소수 가운데 대수적 수가 아닌 수를 초월수라고 한다.

위에 적은대로 자연스러운 수 가운데 처음으로 초월수임이 밝혀진 수는 $e$이다. 찾아보니 $e$가 초월수임을 보이는 증명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하나를 일부 옮겨 적는다. 먼저 $e$를 무한급수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에서 시작하자.

$$e=\sum_{n=0}^{\infty}\frac{1}{n!}=1+1+\frac{1}{2!}+\frac{1}{3!}+\cdots$$

1단계

$e$는 무리수이다.

$e=a/b$라고 가정하자. ($a,\;b$는 정수)

$$\frac{a}{b}=1+1+\frac{1}{2!}+\frac{1}{3!}+\cdots$$

$$\frac{a}{b}=1+1+\frac{1}{2!}+\frac{1}{3!}+\cdots+\frac{1}{b!}+\frac{1}{(b+1)!}+\frac{1}{(b+2)!}+\cdots$$

$$\frac{a}{b}=1+1+\frac{1}{2!}+\frac{1}{3!}+\cdots+\frac{1}{b!}+\frac{1}{b!}\left(\frac{1}{(b+1)}+\frac{1}{(b+1)(b+2)}+\cdots\right)$$

$R=\displaystyle{\frac{1}{(b+1)}+\frac{1}{(b+1)(b+2)}+\cdots}$라고 하면 $0<R<1/b$이다. 다시 적으면

$$\frac{a}{b}=1+1+\frac{1}{2!}+\frac{1}{3!}+\cdots+\frac{1}{b!}+\frac{1}{b!}R\tag{3}$$

$$\frac{a}{b}\times(b!)=(b!)\times\left(1+1+\frac{1}{2!}+\frac{1}{3!}+\cdots+\frac{1}{b!}+\frac{1}{b!}R\right)$$

$$정수= 정수+R$$

이것은 모순이다. 

$\blacksquare$

2단계

(3)을 변형하면 임의의 정수 $m$에 대하여 아래를 만족하는 정수 $I_m$과 $R$이 존재한다.

$$e=1+1+\frac{1}{2!}+\cdots+\frac{1}{m!}+\frac{1}{(m+1)!}+\cdots$$

$$e=\frac{I_m}{m!}+\frac{R}{m!}\quad\left(0<R<\frac{1}{m}\right)\tag{4}$$

$ae-b=0$라고 하자.

$m=b$라고 놓으면

$$a\left(\frac{I_b}{b!}+\frac{R}{b!}\right)=b$$

$$a\left(I_b +R\right)=b\times b!\tag{*}$$

따라서 $e$는 1차 방정식의 해가 될 수 없다.

$\blacksquare$

$ae^2-be+c=0$라고 하자. 다시 정리하면 $ae+c/e=b$이다.

$$\begin{split}\frac{1}{e}=\sum_{n=0}^{\infty}\frac{(-1)^n}{n!}&=1-1+\frac{1}{2!}-\frac{1}{3!}+\cdots\\&=\frac{I_m}{m!}+\frac{R}{m!}\end{split}\tag{5}$$

(4), (5)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마찬가지로 모순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e$는 2차 방정식의 해가 될 수 없다.

$\blacksquare$

3단계

일반화를 위해 아래와 같은 $\Gamma$-함수를 쓰자.

$$ \Gamma (n+1)=\int _{0}^{\infty }x^{n}e^{-x}\,dx=n!\qquad (n\in \Bbb{N})$$

$P(x)$는 정수 계수인 다항식이라고 하자.

$$P(x)=\sum_{k=0}^{n}a_k x^k\quad \quad a_k\in \Bbb{Z}$$

아래와 같이 적당한 정수 $A$가 항상 존재한다.

$$ \int _{0}^{\infty }x^{n}P(x)e^{-x}\,dx=n!\times A\quad \quad A\in \Bbb{Z}$$

정리하면

$$ A=\frac{1}{n!}\int _{0}^{\infty }x^{n}P(x)e^{-x}\,dx$$

이것을 이용하면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아래를 만족하는 정수 $I_n$과 분수 $R$를 찾을 수 있다.

$$e^n=\frac{I_n}{A}+\frac{R}{A}\quad\left(I_n\in\Bbb{Z},\;\;0<R<1\right)\tag{6}$$

나머지는 영상을 참고하자.

https://youtu.be/WyoH_vgiqXM

아래 링크에 다른 증명 방법도 참고하자.

반응형